환수 과정에서 국제 분쟁이 일어난 문화재 역사 수행인데 알려주세요 ㅜㅜ
역사 수행인데 알려주세요 ㅜㅜ
1. 우리나라 사례
(1) 외규장각 의궤 (프랑스)
배경: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가 강화도 외규장각을 약탈
분쟁 과정: 1990년대부터 환수 요청, 프랑스는 "국가 소유"라며 거부
결과: 2011년, **‘5년 단위 장기 대여 형식’**으로 한국에 돌아옴 (영구 소유는 아님)
→ 쟁점: 프랑스는 "합법적 소유", 한국은 "전시 약탈" 주장
(2) 조선왕실의궤 (일본)
배경: 일제강점기 일본이 반출
환수 노력: 2001년부터 시민단체와 정부가 반환 요청
결과: 2011년 일본 정부가 1,200여 점 반환 결정→ 특징: 일본 정부가 공식적으로 돌려준 드문 사례
2. 세계 다른 나라 사례
(3) 엘긴 마블 (영국 vs 그리스)
배경: 1800년대, 영국이 오스만 제국과의 협상으로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의 조각상 반출
분쟁 내용: 그리스는 "점령 하에 이뤄진 불법 반출",
영국은 "정식 허가받아 소장" 주장
현재 상황: 대영박물관에 전시 중, 그리스는 계속 반환 요구 중
(4) 로제타석 (영국 vs 이집트)
배경: 프랑스가 1799년 나폴레옹 원정 때 발견 → 나중에 영국이 전리품으로 가져감
의미: 고대 이집트 상형문자 해독의 열쇠
분쟁 내용: 이집트는 문화정체성의 핵심이라 주장,
영국은 "세계 유산이니 보존해야" 주장